1. 소방시설의 비상전원
(1) 옥내소화전설비의 비상전원 종류
- 축전지설비
- 전기저장장치
- 자가발전설비
2.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의 설치기준
① 복도, 통로, 청각장애인용 객실 및 공용 거실에 설치하며, 각 부분에서 유효하게 경보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것
② 공연장, 집회장, 관람장 등 이와 유사한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, 시선이 집중되는 무대부에 설치할 것
③ 설치 높이는 2m 이상 2.5m 이하의 장소에 설치할 것
(천장의 높이가 2m 이하인 경우에는 천장에서 0.15m 이내에 설치)
④ 시각경보장치의 광원은 전용의 축전지 또는 전기저장장치에 의해 점등되도록 할 것
3. 전실제연설비
(1) A, B, C의 명칭
A : 배기댐퍼(Exhaust) B : 연기감지기 C : 급기댐퍼(Supply)
(2) 각 번호 별 배선 가닥수
* 감지기 공통선은 전원-를 쓰도록 문제에 주어짐
① 배기댐퍼 : 전원+, 전원-, 기동, 배기 기동확인 ▶ 4가닥
② 연기감지기 : 감지기 회로2, 감지기 공통선 2 ( 들어가는선과 나오는 선) ▶ 4가닥
③ 전원+, 전원-, 감지기 회로선, 기동, 급기 기동확인, 배기 기동확인 ▶ 6가닥
(기동은 공통으로 사용하고, 급/배기 확인 선은 각각)
(3) 조작부의 설치 높이
0.8m 이상 1.5m 이하
4. 비상콘센트
(1) 설치 목적 : 화재 발생 시 소방의 조명용 또는 소화활동상 필요 장비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
(2) 접지 도체의 교차 색상 : 녹색, 노란색 교차
(3) 접지선을 포함한 배선의 가닥수 : 전원선 2가닥, 접지선 1가닥 ▶ 3가닥
5.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용어
① 경계구역 : 특정대상소방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
② 중계기 : 감시기, 발신기 또는 전기적 접점 등의 작동에 따른 신호를 수신기 제어반에 전송하는 장치
③ 김지기 : 화재 시 발생하는 열, 연기, 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수신기에 발신하는 장치
④ 발신기 : 화재발생신호를 수신기에 수동으로 발신하는 장치
⑤ 시각경보장치 :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신호를 시각경보기에 전달하여 점멸형태의 시각경보를 하는 장치
⑥ P형 수신기 :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해 공통신호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
해당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해주는 장치
⑦ R형 수신기 :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해 고유신호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
해당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해주는 장치
⑧ P형 복합식수신기 :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해 공통신호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
해당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해주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옥내/옥외 소화전설비,
스프링클러설비, 물분무소화설비, 포소화설비, 배연설비 등의 가압송수장치 또는 기동장치 등을
제어하는 장치
⑨ P형 복합식수신기 :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해 고유신호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
해당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경보해주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옥내/옥외 소화전설비,
스프링클러설비, 물분무소화설비, 포소화설비, 배연설비 등의 가압송수장치 또는 기동장치 등을
제어하는 장치
6. 비상콘센트의 보호함
① 보호함에는 쉽게 개폐할 수 있는 문을 설치할 것
② 보호함 표면에 "비상콘센트"라는 표지를 할 것
③ 보호함 상부에 적색의 표시등을 설치할 것, 비상콘센트의 보호함을 옥내소화전함 등과 접속하여 설치하는
경우에는 옥내소화전 등의 표시등과 겸용할 수 있음.
7. 비상방송설비의 확성기 회로
8.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설치기준
① 감지기는 실내로의 공기유입구로부터 1.5m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
② 보상식스포트형감지기는 정온점이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온도보다 20℃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할 것
③ 스포트형감지기는 45도 이상 경사되지 않도록 부착할 것
④ 정온식 감지기는 주방, 보일러실 등 다량의 화기를 취급하는 장소에 설치하고 최고주위온도보다 20℃ 이상
높은 것으로 설치할 것
9. 접지공사에서 접지봉과 접지선을 연결하는 방법
(1) 열결방법 : 용융접속, 납땜접속, 슬리브를 이용한 압착
(2) 내구성이 가장 좋은 방법은? 용융접속
'소방설비기사 전기 > 문제풀이 이론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19년 04월 14일 시행] 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 문제 풀이 이론 _ 2 (0) | 2023.04.21 |
---|---|
[2020년 07월 24일 시행] 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 문제 풀이 이론 _ 2 (0) | 2023.04.14 |
[2020년 07월 24일 시행] 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 문제 풀이 이론 _ 1 (0) | 2023.04.13 |
[2022년 11월 19일 시행] 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 문제 풀이 이론 _ 2 (0) | 2023.04.10 |
[2022년 11월 19일 시행] 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 문제 풀이 이론 _ 1 (0) | 2023.04.0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