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 연기감지기4 1-2 자동화재탐지설비 _ 감지기 1. 감지기의 설치 기준 ① 감지기(차동식분포형 제외)는 실내로의 공기 유입구로부터 1.5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 ② 감지기는 천장 또는 반자의 옥내에 면하는 곳에 설치 ③ 보상식스포트형 감지기는 정온점이 주위의 평상 시 최고온도보다 20℃ 이상 높을 것 ④ 정온감지기는 주방, 보일러 등 다량의 화기를 취급하는 장소에 설치 ⑤ 정온식 감지기는 공칭작동온도가 최고주위온도보다 20℃ 이상 높을 것 ⑥ 스포트형 감지기는 45도 이상의 경사가 되지 않게 설치할 것 2. 연기 감지기의 설치 기준 ① 출입구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 ② 배기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 설치 ③ 벽 또는 보로부터 0.6m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 3. 열전대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의 설치기준 4. 열반도체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의 설치기준 * .. 2023. 3. 31. 1-1 자동화재탐지설비 _ 감지기 1. 경계구역 경계구역 : 특정 소방 대상물의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하고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 1.1 경계구역의 동 / 층별 설정 기준 ①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출물에 미치지 않을 것 ②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않을 것 ( 500㎡ 이하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음) 1.2 경계구역의 면적 및 길이에 따른 설정 기준 ① 하나의 경계구역은 600㎡ 이하이고, 한변의 길이가 50m 이하 일 것 ② 내부가 전체 보이는 경우, 하나의 경계구역은 1,000㎡ 이하이고, 한변의 길이가 50m 이하 일 것 1.3 경계구역의 수직높이에 따른 설정 기준 ① 계단, 경사로, 엘리베이터 승강로, 린넨슈트, 파이프 피트, 덕트 등 별도 경계구역으로 설정 ②.. 2023. 3. 27. [2022년 5월 7일 시행] 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 문제 풀이 이론 _ 2 9. 연기감지기 설치 기준 - 출입구에 가까운 부분에 설치할 것 - 배기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 부근에 설치 - 벽 또는 보로부터 0.6m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 10. 비상콘센트 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 ① 단상교류 220V, 공급용량 1.5KVA 이상 / 접지형 2극 ② 전원회로는 각 층에 2이상이 되도록 설치 할 것 ( 설치 비상콘센트가 1개인 경우, 1회로 가능) ③ 주배전반에서 전용회로로 할 것 ④ 각 층의 비상콘센트에 분기되는 경우에는 배선용 차단기를 보호함 안에 설치 ⑤ 콘센트마다 배선용 차단기를 설치하고, 충전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것 ⑥ 개폐기에는 "비상콘센트"라고 표시할 것 ⑦ 풀박스 등은 방청도장을 한 것으로, 두께 1.6mm 이상의 철판으로 할 것 ⑧ 하나의 전용회로는 비상콘센트 10.. 2023. 3. 23. [2022년 5월 7일 시행] 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 문제 풀이 이론 _ 1 1. 객석유도등 설치기준 ① 객석유도등은 객석의 통로, 바닥, 벽에 설치 ② 유도등의 조도는 바로 밑에서 0.3m 떨어진 위치에서 수평조도가 0.2lx 이상 ③ 객석유도등의 설치 갯수(소수점이 생기는 경우 절상 원칙!) 2. 도시기호 및 명칭 3. 슈퍼 비조리판넬(Super Visory Panel) ⓐ 압력 스위치(PS, Pressure Switch ) : 밸브 개방확인( 준비작동 밸브 개빙 시 수압에 작동되어 밸브개방 확인 표시) ⓑ 탬퍼 스위치(Ts, Tamper Switch) : 밸브주의(1차측 및 2차측 밸브가 폐쇠되면 표시) ⓒ 솔레노이드 밸브(SV, Solenoide Valve) : 밸브 개방(감지기의 A,B 동작 또는 수동 기동에 의해 솔레노이트가 작동되어 밸브 클리퍼 개방) 4. 3선식 배.. 2023. 3. 8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