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소방설비기사 전기/문제풀이 이론 정리

[2022년 11월 19일 시행] 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 문제 풀이 이론 _ 2

by 요거팅 2023. 4. 10.
반응형

10.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 설치기준 

① 소방주파수대에서 전파의 전송 또는 복사에 적합한 것으로서 소방전용의 것으로 할 것.

② 누설동축케이블과 이에 접속하는 안테나, 동축케이블과 이에 접속하는 안테나로 구성할 것

③ 누설동축케이블 및 동축케이블은 불연 또는 난연성을 갖고 습기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하지 않아야 하고, 

     노출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피난 및 통행에 장애가 없도록 할 것

④ 누설동축케이블 및 동축케이블은 화재에 따라 해당케이블의 피복이 소실된 경우, 케이블 본체가 떨어지지 않도록

     4m 이내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등의 지지금구로 벽이나 천장, 기둥 등에 고정시킬 것

⑤ 누설동축케이블 및 안테나는 금속판 등에 따라 전파의 복사 또는 특성이 현저히 저하 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할 것

⑥ 누설동축케이블 및 안테나는 고압 전로로부터 1.5m 이상 이격할 것

    (해당 전로에 정전기 차폐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예외로 함)

⑦ 누설동축케이블의 끝부분에는 무반자 종단저항을 견고하게 설치 할 것

     ▶ 목적 : 전송되는 전자파가 전송로의 말단에서 반사되어 교신을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해

 

11. 지하구의 화재안전 기준

■ 자동화재탐지설비

① 감지기 중 먼지, 습기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발화지점과 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할 것

② 지하구 천장의 중심부에 설치하되 감지기와 천장 중심부 하단과의 수직거리는 30cm 이내일 것

 

■ 유도등

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에는 해당 지하구 환경에 적합한 크기의 피난유도등을 설치해야 함. 

 

■ 기존지하구에 대한 특례

특고압 케이블이 포설된 송/배전 전용 지하구에는 온도확인 기능 없이 최대 700m의 경계구역을 설정하고,

발화지점을 확인할 수 있는 감지기를 설치할 수 있음.

 

■ 지하구에 적응성이 있는 감지기

정온식 감지선형감지기, 광케이블식 감지선형감지기

 

12. 감지기의 설치기준

연기감지기의 설치기준
스포트형 감지기의 설치기준

13. 배선기호 및 전선의 종류 

ⓐ : 전선의 종류  450/750[V] 저독성 난연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

ⓑ : 전선의 굵기 2.5㎟

ⓒ : 전선관의 굵기 16mm

ⓓ : 전선의 가닥수 3가닥

ⓔ : 천장은폐배선

 

* HFIX : 450/750[V] 저독성 난연가교폴리올레핀 절연전선

* OW : 옥외용 비닐절연전선

* OE : 폴리에틸렌 절연전선

* OC : 가교폴리에틸렌 절연전선

* DV : 인입용 비닐절연전선

* CV : 가교폴리에틸렌 절연비닐외장케이블

* CE :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폴리에틸렌 외장케이블

* FP : 내화전선

* HP : 내열전선

* GV : 접지용 비닐절연전선

* E : 접지선

* HIV : 내열용 비닐절연전선

 

14. 경계구역의 설정 기준

* 경계구역 설정기준

①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않을 것

②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않을 것 ( 500㎡ 이하는 2개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음)

③ 하나의 경계구역은 600 ㎡이하로 하고 한변의 길이는 50 m 이하일 것

④ 하나의 경계구역 높이는 45 m 이하 (계단 및 경사로)

⑤ 지하층의 계단 및 경사로는 별도의 경계구역으로 할당 할 것

 

■ 별도의 경계구역

계단, 경사로(엘리베이터 경사로 포함), 엘리베이터 승강로(권상기실이 있는 경우 권상기실), 린넨슈트,

파이프 피트 및 덕트, 지하층의 게단 및 경사로(지하층의 층수가 1일 경우는 제외)

 

 

15.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 

 

16. 우선경보방식

*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(공동주택의 경우 16층 이상)

 

17, 18  시퀀스 및 도면 문제 생략 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