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소방설비기사 전기/문제풀이 이론 정리

[2020년 07월 24일 시행] 소방설비기사 전기 실기 문제 풀이 이론 _ 1

by 요거팅 2023. 4. 13.
반응형

1.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중계기 설치기준 

① 수신기에서 직접 감지기 회로의 도통시험을 행하지 않는 경우,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할 것

② 조작 및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에 의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

③ 수신기에 의해 감시되지 않는 배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, 전원입력측에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하고

     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을 시험할 수 있을 것

 

2 .  유접점 및 무접점 회로 문제 생략

 

3. 배선용 차단기 심볼 

① 극수(3극)

② 프레임크기(225A)

③ 정격전류(150A)

 

4. 전력 계산 문제  [단순계산문제]

- 40W 피난구유도등 10개, AC220V  (유도등 역률 60%)

 

5. 옥내소화전설비의 비상전원

(1) 옥내소화전설비에 비상전원을 설치해야 하는 경우

① 층수가 7층 이상으로 연면적이 2,000㎡ 이상인 것

②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,000㎡ 이상인 것

 

(2) 옥내소화전 설비의 비상전원은 자가발전설비, 축전지 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로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해야한다.

①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에 의해 피해를 받지 않는 곳에 설치할 것

② 옥내소화전설비를 유효하게 20분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 할 것

③ 상용전원 공급 중단 시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전환되어 공급되도록 할 것

④ 비상전원은 다른 장소와 방화구획할 것 (그 장소에는 비상전원 공급에 필요한 기구나 설비이외를 두지 않을 것)

⑤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,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할 것

 

6. 축전지 설비 

(1) 축전지설비의 구성요소

① 축전지

② 충전장치 

③ 보안장치

④ 제어장치

⑤ 역변환장치

 

(2) 연축전지와 알칼리 축전지의 비교

(3) 축전지별 화학반응식 (좌측이 충전, 우측이 방전 시)

(4) 축전지의 충전방식

① 급속충전 : 보통전류의 2~3배로 빠르게 충전하는 방식

② 부동충전 : 배터리의 자기방전을 보충함과 동시에 상용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을 충전기가 담당하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충전기가 부담하기 어려운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에 대해 축전지가 부담하는 방식

③ 균등충전(정전압충전) : 각 축전지간 전압균형을 위해 1~3개월마다 1회 정전압으로 10~12시간 충전하는 방식 

④ 세류충전(트리플충전) : 항상 자기방전량만 충전하는 부동충전방식의 일종

 

(5) 축전지의 2차 충전전류 

 

7. 통로 유도등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

① 구부러지지 않은 복도 또는 통로로 길이가 30m 미만인 복도 또는 통로

② 복도 또는 통로로 보행거리가 20m 미만이고 그 복도 또는 통로와 연결된 출입구 또는 부속실의 출입구에 

     피난구유도등이 설치된 복도 또는 통로

 

8. 공기관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의 설치기준

①공기관의 노출부분은 감지구역마다 20m 이상이 되도록 할 것 

② 공기관과 감지구역의 수평거리는 1.5m가 되도록하고 공기간 상호간 거리는 6m 이하가 되도록 할 것

     (내화구조의 경우, 공기관 상호간 거리는 9m 이하)

③ 공기관은 도중에 분기하지 않도록 할 것

④ 하나의 검출부분에서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100m 이하가 되도록 할것

⑤ 감출부는 5도 이상 경사지지 않도록 설치할 것

⑥ 검출부는 바닥으로부터 0.8m 이상 1.5m 이하 위치에 설치할 것

 

9. 객석유도등의 설치기준

(1) 객석유도등의 설치기준
① 객석유도등은 객석의 통로, 바닥 또는 벽에 설치

② 조도는 유도등의 바로 밑에서 0.3m 떨어진 위치에서의 수평조도가 0.2lx 이상

 

(2) 객석유도등의 설치갯수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