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소방설비기사 전기/경보설비

1-1 자동화재탐지설비 _ 감지기

by 요거팅 2023. 3. 27.
반응형

1. 경계구역

경계구역 : 특정 소방 대상물의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하고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

 

1.1 경계구역의 동 / 층별 설정 기준

①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출물에 미치지 않을 것

②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않을 것 ( 500㎡ 이하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음)

 

1.2 경계구역의 면적 및 길이에 따른 설정 기준

① 하나의 경계구역은 600㎡ 이하이고, 한변의 길이가 50m 이하 일 것

내부가 전체 보이는 경우, 하나의 경계구역은 1,000㎡ 이하이고, 한변의 길이가 50m 이하 일 것

 

1.3 경계구역의 수직높이에 따른 설정 기준

① 계단, 경사로, 엘리베이터 승강로, 린넨슈트, 파이프 피트, 덕트 등 별도 경계구역으로 설정

② 하나의 경계구역은 높이 45m 이하로 설정

③ 지하층의 계단 및 경사로는 별도 경계구역으로 설정

 

1.4 경계구역의 외기개방 및 기동용 감지기에 따른 설정

① 외기와 접하는 차고, 주차장, 창고 등 외기에 면하는 각 부분으로부터 5m 미만의 범위 안에 있는 부분은 경계구역의

    면적에 산입하지 않음 

② 스프링클러 or 물분무등소화설비 or 제연설비의 감지장치로 화재감지기를 설치한 경우, 방사구역 또는 제연 구역과

    동일하게 설정

 

2. 감지기의 종류

①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

주위 온도의 상승률을 감지, 일국소에서의 열효과에 의해 동작

 

②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

주위 온도의 상승률을 감지, 넓은 범위에서의 열효과의 누적에 의해 동작

 

③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

일정 온도 상승을 감지, 외관이 전선으로 되어 있는 것

 

④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 

일정 온도 상승을 감지, 외관이 전선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것

 

⑤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 

차동식 스포트형 + 정온식 스포트형

 

⑥ 이온화식 감지기 

일국소의 연기에 의해 이온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작동

 

⑦ 광전식 감지기 

일국소의 연기에 의해 광전소자에 접하는 광량을 변화를 감지하여 작동

 

⑧ 열연복합형 감지기 (두 가지 감지가 동시에 충족되어야 작동)

- 차동식 스포트형 + 이온화식

- 차동식 스포트형 + 광전식

- 정온식 스포트형 + 이온화식

- 정온식 스포트형 + 광전식

 

⑨ 열복합형 감지기

차동식 스포트형 + 정온식 스포트형

두 가지 감지를 모두 감지하는 형식, 두 가지 감지를 각각 감지하는 형식

 

⑩ 연복합형 감지기 

이온화식 + 광정식

두 가지 감지를 모두 감지하는 형식, 두 가지 감지를 각각 감지하는 형식

 

⑪ 단독 경보형

감지기에 음향장치가 내장된 형태

 

⑫ 자외선식 불꽃 감지기

일국소의 자외선에 의해 수광소자의 수광량 변화에 의해 작동

 

⑬ 적외선식 불꽃 감지기

일국소의 적외선에 의해 수광소자의 수광량 변화에 의해 작동

 

⑭ 자외선 ㆍ 적외선겸용 불꽃 감지기

자외선 또는 적외선에 의한 수광량 변화를 감지하여 1개의 화재신호를 감지

 

⑮ 복합형 불꽃 감지기

두 가지 감지를 모두 감지하는 형식, 두 가지 감지를 각각 감지하는 형식

 

3. 감지기의 구조 및 작동원리

3.1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

주위 온도가 일정 상승률(℃/sec) 이상이 되는 경우 작동, 일국소에서의 열효과에 의해 작동

 

① 공기 팽창을 이용한 방식 : 공기의 팽창에 따른 다이아프램 접점의 접촉/비접촉 여부에 따라 감지

*리크구멍 : 완만한 온도 상승 시 리크 구멍을 통한 공기 방출로 비화재보를 방지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리크 구멍이 이물질 등으로 막히는 경우 비화재보의 원인이 될 수 있음

 

② 열기전력을 이용하는 방식 : 반도체 열전대가 가열되면 금속판에 열기전력이 발생하여 고감도 릴레이 접점을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붙여 화재 신호를 감지

 

3.2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

① 공기관식 : 공기에 팽창에 의한 다이어프램의 접촉으로 동작

② 열전대식 : 화재 시 열전대부가 가열되면 열기전력이 발생하고 미터릴레이의 접점을 닿게하여 동작

③ 열반도체식 : 화재시 수열판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반도체소자의 제백효과(Seebeck Effect)에 따라 열기전력이 발생하고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검열부의 출력전압이 기준치가 넘으면 미터릴레이를 작동시켜 동작

 

3.3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

① 바이메탈의 활곡 및 반전 이용

② 금속의 팽창계수치 이용

③ 액체의 팽창 이용

④ 가용절연물 이용

⑤ 감열반도체 소자 이용

 

3.4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 : 차동식과 정온식으로 동작하는 감지기

 

3.5 연기감지기

① 이온화식 감지기 : 연기에 의한 이온전류의 감소로 전압이 감소되는 것을 감지하여 동작

② 광전식 감지기  : 연기에 의한 수광부의 수광량이 증가하여 저항이 변하는데 이를 감지하여 동작

반응형

'소방설비기사 전기 > 경보설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-2 자동화재탐지설비 _ 감지기  (0) 2023.03.31

댓글